TCP_IP 공부

TCP_IP 2차시

NaZZU 2025. 3. 21. 11:21

저번주 잠깐 복습

호스트

  • 최종 사용자의 응용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주체

라우터

  • 호스트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여러 네트워크를 거쳐 전송함으로써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속한 호스트 간에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게 하는 장비

통신 프로토콜

  • 호스트와 라우터, 라우터와 라우터, 호스트와 호스트가 통신하기 위한 절차와 방법

 

TCP/IP

  • 인터넷의 핵심 프로토콜인 TCP와 IP를 비롯한 각종 프로토콜
  • 운영체제의 일부로 구현되며, 응용 프로그램은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TCP/IP v프로토콜의 서비스를 사용해 통신

 

TCP/IP 프로토콜 구조

  • 계층적 구조
응용 계층 Telnet, FTP, HTTP, STMP, MIME, SNMP, ...
전송 계층 TCP, UDP
인터넷 계층 IP
너트워크 접근 계층 장치 드라이버, 네트워크 하드웨어

 


 

패킷

  • 각 프로토콜에서 정의한 제어 정보(IP 주소, 포트 번호, 오류 체크 코드 등) + 데이터
  • 제어 정보의 위치에 따라 앞쪽에 붙는 헤더와 뒤쪽에 붙는 트레일러로 구분

 

 

주소 (IP, MAC 주소)

IP 주소

  • 계층화된 주소
  • 인터넷에 있는 호스트와 라우터의 식별자
    • 폐쇠된 네트워크이거나 IP를 공유하는 경우가 아니면 전 세계적으로 값이 유일
  • IPv4는 32비트, IPv6는 128비트 사용
  • IPv4는 8비트 단위로 . 로 구분하여 10진수 4개로 표기
    • 147.46.114.70
  • IPv6는 16비트 단위로  : 으로 구분하여 16진수 8개로 표기
    • 2001:0230:abcd:ffab:eb00:ffff:1111

MAC 주소

  • 계층화되지 않은 주소
  • 48bits
  • 사람의 이름과 비슷
  • 실제로 네트워크 장비가 통신 시 사용하는 주소

포트 번호

  • 인터넷 통신의 종착점 (하나 혹은 여로 프로세스)을 나타내는 식별자
  • TCP와 UDP는 포트 번호로 부호 없는 16비트 정수를 사용하므로 0~65535 범위가 가능
  • 영역별 포트 번호
포트 번호 분류
0 ~ 1023 알려진 포트
1024 ~ 49151 등록된 포트
49152 ~ 65535 동적 / 사설 포트

도메인 이름

  • IP 주소에 대한 (기억하기 쉬운) 별명
  • 실제 통신할 떄는 IP 주소로 변환해야 함

 

클라이언트 - 서버 모델

두 프로그램이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용어

서비스를 요청하는 쪽은 클라이언트,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서비스를 처리하는 쪽은 서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