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CP_IP 공부
TCP_IP 4주차
NaZZU
2025. 3. 28. 11:32
LAN 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프로토콜
- Ethernet
- Tokken Ring
- FDDI
ETERNET PROTOCOL 규격
10 | base | 5 |
Speed (M bpd) | base = baseband broad = broadband |
세그먼트의 길이를 나타냄 5이면, 최대 길이 = 5 * 100 m |
스타 토폴로지
- 중앙 : 허브, 리피터 또는 콘센트레이터
- Ethernet과 Tokken Ring에서 주로 사용
- 5 ~ 100 대의 장비
링 토폴로지
- 각 부분에 리피터
- 단 방향 전송 링크
- 폐쇠된 루프 구조
- FDDI 네트워크에서 주로 사용됨
Tokken-Ring 및 FDDI
Ethernet
Ethernet Frame 구조
Ethernet Frame Format
Preable | Frame Delimiter |
Destination address |
source address |
Type | data | FCS |
IEEE 802.3 Frame Format
Praable | Frame Delimiter |
Destination address |
source address |
Type | data | FCS |
- 프리앰블 : 비트 동기화에 사용된다 ( 7 바이트 )
- 프레임 시작 : 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냄 ( 1 바이트)
- 목적지 주소 : 수신측 주소를 나타냄 ( 6 바이트 )
- 근원지 주소 : 송신측 주소를 나타냄 ( 6 바이트 )
- 종류 필드 : 상위 계층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식별함 ( 2 바이트 )
- 데이터 : 실제 전송될 자료가 들어감 ( 46 ~ 1500 바이트 )
- 프레임 체크 시퀀스 : 에러검사에 사용됨 ( 4 바이트 )
Ethernet의 통신 방식 : CSMA/CD
매체 Access 방식
전송방식 비교
네트워크 프로그래밍과 소켓
소켓 : PC (호스트) 간에 연결을 해주는 소프트웨어 적인 장치
네트워크 프로그래밍
-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두 호스트 간의 데이터 송수신
- 파일 입출력 과의 차이점은 데이터를 주고 받는 대상에 있다
- 소켓 이라는 장치를 사용하여 프로그래밍 한다
- 소켓 프로그래밍 == 네트워크 프로그래밍
Client/Server 모델
- Server는 Client에 연결 요청을 기다린다
- Client는 Server에 요청을 하고, 응답을 기다리는 호스트를 의미
Server의 종류
- Iterative Server : 한 순간에 하나의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한다 (UTP)
- Concurrent Server : 동시에 여러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한다
서버 소켓 구현